프로세서 | [발표] 인텔 7세대 코어 프로세서 테크 브리핑
페이지 정보
작성자
본문
인텔 코리아에서 지난 8월 31일 공식 출시된 7세대 코어 프로세서에 대한 테크 브리핑을 진행했습니다. 14nm 스카이레이크 설계를 바탕으로 모바일 플랫폼에 최적화시켜 고화질 4K UHD, 360도 영상, 멀티 스트리밍 등 고품질 컨텐츠에 몰입할 수 있도록 추가된 기술들을 소개한 뒤, 인텔 7세대 코어 프로세서를 탑재한 파트너사의 노트북 제품으로 직접 해당 기술들을 시연하는 자리를 가졌습니다.
인텔 7세대 코어 프로세서는 출시된 지 5년이 지난 2세대 코어 프로세서와 비교했을 때 SYSmark 벤치마크 기준으로 70%가량 증가한 전력당 성능비와 3DMARK Cloud Gate 테스트 기준으로 3.5배 향상된 그래픽 프로세싱 성능을 지닌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특히 고화질 인터넷 방송을 운영하거나 4K UHD 영상을 감상에 있어서는 6세대 코어 프로세서와 비교해도 월등히 높은 효율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핵심적인 변화는 HEVC 디코더를 개선해 10비트 고화질 영상(4K UHD+HDR)도 하드웨어 가속이 가능해졌고, VP9 디코더 역시 개선되어 유튜브(YouTube)의 4K UHD 영상도 끊김없이 더 오랫동안 감상할 수 있게 됩니다.



[1] 동일한 배터리 용량의 4K 디스플레이 패널 시스템에서 4K 10bit HEVC 코덱 동영상을 재생했을 때, Intel® Core™ i7-7500U vs. Intel® Core™ i7-6500U [2] VP9 코덱 기반의 4K 영상 스트리밍 시 측정 |
Intel® Core™ i7-7500U 프로세서를 탑재한 노트북으로 새로운 기술들을 시연하는 모습을 사진으로 담아보았습니다.
첫 번째 사진은 "4K UHD(HEVC/H.265) 영상 하드웨어 가속"을 시연하는 장면입니다. 소프트웨어 처리(S/W)방식으로 재생하면 영상이 끊기면서 CPU 사용률이 100%로 치솟아 배터리를 빠르게 소모하지만, 하드웨어 가속(H/W)방식으로 전환하면 영상이 부드럽게 변하면서 CPU 사용량도 줄어 더 오랫동안 쾌적하게 고화질 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두 번째 사진은 기존의 8-bit 컬러(SDR) 영상과 "10-bit 컬러(HDR)" 영상을 비교한 장면입니다. 백그라운드에서 재생된 8-bit SDR 영상은 많은 컬러 데이터들이 손실되어 원본 색상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고 있지만, 10-bit HDR 영상은 원본에 가까운 컬러와 빛의 세기를 표현해 최신 영화나 드라마를 더욱 생생한 화질로 감상할 수 있습니다.


▣ [공식자료] 인텔 7세대 코어 프로세서 제품군 주요 성능
반응성
7세대 인텔 코어 프로세서는 전력 효율적인 마이크로아키텍처, 향상된 프로세싱 기술 및 실리콘 최적화 기술을 기반으로 이전 세대 프로세서 대비 보다 빠른 성능을 제공한다. 인텔 스피드 시프트 기술(Intel® Speed Shift Technology)로 한층 빠르고 응답성이 좋은 웹 브라우징이 가능하며 인텔 터보 부스트(Turbo Boost) 2.0 기술로 코어 및 그래픽에 맞춰 성능 및 전력 사용을 적절하게 조정하면서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만큼 정확하게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7세대 인텔 코어 프로세서 Y시리즈 및 U시리즈 제품군은 모두 인텔 하이퍼쓰레딩 기술(Intel® Hyper-Threading Technology)을 적용한 2개의 코어 및 4개의 쓰레드를 지원, 성능과 이동성의 균형을 완벽하게 잡아주어 매력적인 2in1 및 얇은 노트북 디자인이 가능하다. MS 윈도우 모던 스탠바이(Modern Standby) 기능이 적용된 PC의 경우 전원 버튼만 누르면 즉각적으로 구동이 가능해 사용자는 시스템이 시작되는 것을 기다릴 필요가 없게 된다.
풍부한 몰입형 경험
7세대 인텔 코어 프로세서의 인텔 HD 그래픽은 실감나는 비주얼을 위한 향상된 성능 및 새로운 미디어 엔진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쉽게 컨텐츠를 보고, 제작하고, 공유하며,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다양한 업체들이 제공하는 4K UHD 급 프리미엄 컨텐츠를 원활히 즐길 수 있는 7세대 인텔 코어 프로세서 제품군의 성능에 힘입어 사용자들은 놀랍고 생생한 멀티미디어 경험을 다양한 디스플레이상에서 즐길 수 있게 됐다. 또한 본 제품군은 강력한 기능의 사진 및 영상 편집, 다중 영상 스트리밍, 360도 영상 감상, 고화질 비디오 채팅 작업을 가능하게 하며, 부드럽고 텍스처가 풍부한 그래픽의 HD 화질 PC게임을 이동 중에서도 즐길 수 있게 해준다. 여기에 전력 효울적인 VP8 및 HEVC 10비트 하드웨어 가속화 기반의 새로운 미디어 엔진을 적용, 4K 영상 감상 및 컨텐츠 제작 성능이 기존 세대 프로세서 대비 눈에 띄게 향상됐다.
편의성
다양한 기능을 갖춘 USB-C 타입의 썬더볼트 3 기술이 적용된 노트북은 놀라운 I/O경험을 제공한다. 단일 케이블 단자로 간편하게 최대 초당 40Gb의 데이터 전송 속도 및 2개의 4K 60Hz 디스플레이 지원, 최대 100W의 시스템 충전, 외장 그래픽 및 생산성을 강화시켜줄 썬더볼트 네트워킹까지 지원한다. 또한 7세대 인텔 코어 프로세서 출시로 터치, 음성, 스타일러스 입력을 지원하는 다양한 시스템 디자인의 출시가 가능해 사용자들은 상호 작용을 단순화하고, 창의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윈도우 헬로 안면 인식 기능을 지원하는 카메라가 탑재된 노트북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보다 간편한 방식으로 안전하게 PC와 웹사이트에 로그인할 수 있게 됐다.
향상된 배터리 수명
7세대 인털 코어 프로세서 제품군은 프로세서 및 플랫폼 단의 향상된 전력 효율성을 갖췄다. 이에 더욱 긴 배터리 수명을 제공하거나, 줄어든 배터리 사이즈로 보다 얇고 가벼운 시스템 디자인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전용 하드웨어 가속화 기능으로 전력 소모를 현격히 줄여주고, 로컬 PC상의 4K영상 재생 시 3배 증가된 배터리 수명을 제공한다. Y프로세서 제품군의 경우 강력한 이동성을 위해 얇은 팬리스(fanless) 디자인을 구현, 새로운 디자인의 2in1 및 일반 노트북 제품 제작이 가능해졌다. U시리즈 프로세서는 향상된 생산성 및 창의성을 대폭 슬림해진 폼 팩터 상에서 구현할 수 있게 해준다.
I/O 지원
U 및 Y시리즈 7세대 인텔 코어 프로세서 상의 I/O는 3세대 PCIe 지원해 2세대 PCIe의 초당 5 GT 속도 보다 빠른 초당 8 GT의 데이터 전송률을 제공한다. 또한 최신 인텔 래피드 스토리지 기술(Rapid Storage Technology)은 CPU 다이렉트 연결(PCIe Gen 3x4) 의 NVMe 규격 SSD(solid state drive)를 지원하며, 3세대 PCIe 속도에 최적화됐다. 그 밖에 인텔 통합 센서(Integrated Sensor) 솔루션을 위한 인텔 컨텍스트 센싱(Context Sensing) SDK는 다른 소프트웨어 업체들이 뛰어난 성능의 센서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게 해준다.
▣ 인텔 파트너사의 7세대 코어 프로세서 탑재 노트북 제품들

▲ ASUS ZenBook 3 UX390 (인텔® Core™ i7-7500U / 7200U 프로세서 탑재 모델 출시) 디스플레이 12.5" FHD LED, 무게 910g, 두께 11.9mm, 배터리 40Whr, 그래픽 Intel HD Graphics 620 |

▲ ACER ASPIRE E5-575
(인텔® Core™ i5-7200U 프로세서 탑재 모델 출시) 디스플레이 풀HD 15.6", 무게 2.3kg, 두께 30.2mm, 배터리 2800mAh, 그래픽 GTX 950M D5 2GB |

▲ Samsung Notebook 9 Series
(인텔® Core™ i7-7500U
/ 7200U 프로세서 탑재 모델 출시) 디스플레이 13.3"/15" FHD LED, 무게 0.84Kg/1.29Kg, 두께 13.4mm/14.5, 배터리 30Whr/39Whr |
[ - http://hwbattle.com/bbs/board.php?bo_table=hottopic&wr_id=4307 ] |
댓글목록
geek절스님의 댓글
geek절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삼성 ASUS ACER 에서 7세대 울트라북을 발빠르게 내놨군요
개인적으로는 맥북 프로의 리뉴얼을 기다리는데, 시기적으로 7세대 프로세서와 타이밍이 어긋날 것 같아서 불안하네요 ㅠㅜ 저전력 라인 외의 7세대는 좀 늦어지겠죠? 킁
허클님의 댓글
허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곧 나오겠군요.
town님의 댓글
tow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데스크톱 제품도 빨리 나왔으면 좋겠네요 ㅎㅎ
댓글장인망아지님의 댓글
댓글장인망아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젠북 키보드도 큼직하니 맘에 드네요^^
SIZZ님의 댓글
SIZZ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데탑 버전 내장글픽 성능이 제일 궁금하네요
행방불명님의 댓글
행방불명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CPU성능은 증가가 거의 없었군요. GPU만 성능 업글, 그리고 4K 동영상 관련 기술 지원이 핵심이네요.
스카이레이크 사용 중이고 외장 그래픽 활용하는 분은 캐논레이크 전까지 업글할 필요가 없겠군요;;
무거운돌덩이님의 댓글
무거운돌덩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데탑보단 노트북 쪽에서의 장점이 커 보이네요.
그나저나 10만원 미만 대 그래픽카드들은 몇 년 내로 사라질 것 같습니다.
배틀리뷰님의 댓글



인텔의 내장 그래픽 발전속도가 빠른 것 같긴 합니다. ^^;;
이쁜이젠슨황님의 댓글
이쁜이젠슨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글쎄요, 주식 등 화면출력용에는 외장VGA가 절대적으로 유리해서...
리펠리님의 댓글
리펠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2세대와 비교하는걸 보니 이젠좀 놔주라 이건가... 나의 2500아~
배틀리뷰님의 댓글



ㅎㅎㅎ 노트북은 미세공정 = 저전력 = 배터리 러닝타임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경쟁력이 높죠. ^^;; 데스크탑용은 좀 더 손을 봐서 출시할 모양인 듯 합니다~
날마다삑사리님의 댓글
날마다삑사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lg그램 놋북도 나와주면 좋겠내요 ...그렇지 않아도 그램 놋북을 하나 구매하려 하는데 좀더 기가려야 할까요 ..
리뷰님 수고 많으시내요^^
이쁜이젠슨황님의 댓글
이쁜이젠슨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HD520 대비해서 620 성능이 크게 좋진 않을거 같은디...
5500 - 520 정도 수준이 아닐까요? ㅋ
이쁜이젠슨황님의 댓글
이쁜이젠슨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것보다 RX 470 vs R9 380X 리뷰는 언제쯤일까요? 대장님 ㅋㅋ
배틀리뷰님의 댓글



흐업... =ㅅ=;; 와트맨이 메모리 다운 클럭을 지원하지 않는 바람에 그만...;; 어떻게든 스케줄이 비는 날을 놓치지 않도록 해보겠습니다 .!
블러디루나님의 댓글
블러디루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아마도 데탑용은 성능업보다는 그저 클럭상승 외엔 크게 의미가 없을듯 하긴 합니다~^^
그린티33님의 댓글
그린티33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내장글카 실제성능이 궁금하긴하네요.
HD530, iris580 보다 얼마나 좋아졌을련지
배틀리뷰님의 댓글



데탑용(630)이나 전문가용(iris) 모델은 내년 초에 출시 예정이라고 합니다. ^^;;
들토끼님의 댓글
들토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나도 내장그래픽 성능만 관심이 가는데.. 성능향상 애기가 얼마인지 없네요..
배틀리뷰님의 댓글



클라우드 게이트 테스트 기준, 인텔 코어 i5-6600K(6세대 스카이레이크/DDR4)와 인텔 코어 i5-2500K(2세대 샌디브릿지/DDR3)의 내장 그래픽 성능 차이도 약 3.68배(9721 vs 2640)입니다. 이를 토대로 6세대와 7세대의 3D 그래픽 성능 차이도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보이며, 본문 내용에서 언급된 동영상 관련 가속기능을 강화해 배터리 러닝 타임 연장에 주력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를 덧붙이자면 칩셋과 연계한 플랫폼 단위의 전력 감소도 포함될 수 있겠죠.)
먹방범호님의 댓글
먹방범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내년 씨퓨 구경도 재밌겠네요 ㅎ
밀피유님의 댓글
밀피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인텔도 내장그래픽에 많은 노력중이군요.
이젠젠인가님의 댓글
이젠젠인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카비레이크 기다려지네요 ㅎㅎ
Edward님의 댓글
Edwar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내장글픽 4K영상이 핵심으로 보이네요.을트라북은 스렉 노트북에서 CPU만 바꾸면 될테니 바로 출시가 되는 듯 합니다.
무장승님의 댓글
무장승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출시가 기다려 집니다 두근두근~
dpaak님의 댓글
dpaa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데탑용 저전력도 좀 풀시해 줬으면 좋겠써요
나봉이님의 댓글
나봉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내장 그래픽 이 기대가 되네요
KOZAK님의 댓글
KOZA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제가 ACER 모델 쓰는데 좋더군요!
인라님의 댓글
인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인텔은 다 좋은데 데탑라인 저가써멀좀 그만 했으면....
웃대님의 댓글
웃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외계인 탈출 한거 아니죠?
damix님의 댓글
damix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회사에서 노트북 구매했는데 쓸만 합니다!
Poro님의 댓글
Poro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내장 색감만 좋으면 참 고마울텐데 ㅠ
댓글을 다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하러가기 |